많은 중년 흡연자는 금연 계획에 앞서 “이제 와서 담배 끊기에는 늦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나이와 상관없이 뒤늦게라도 담배를 끊으면 기대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메이컬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대 보건대학원 프라바트 지하 교수 연구팀은 1974~2018년 미국·캐나다·영국·노르웨이 등 4개국에서 성인(20~79세) 148만 명을 대상으로 금연 효과에 관한 연구 자료를 장기간 추적 조사했다.
분석 결과 나이, 음주, 비만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할 때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사망 위험은 담배를 전혀 피운 적 없는 사람보다 여성은 2.8배, 남성은 2.7배 높게 나왔다.
담배를 피우다가 끊은 경우라도 담배를 전혀 피운 적이 없는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30% 높았다. 연구팀은 “이는 기대수명 중 12~13년을 잃는 것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단 금연을 하기만 하면 나이와 관계없이 효과는 확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암, 심혈관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낮아지고 기대수명이 크게 연장된 것이다.
특히 이러한 효과의 절반 정도는 금연 후 3년 이내에 빠르게 나타났다. 금연 후 약 3년이 지나면 기대수명은 최대 6년까지 길어졌다. 10년이 경과하면 담배를 피운 적이 없는 사람과 기대수명이 거의 비슷했다.
연구팀은 “나이에 상관없이 금연은 사망 위험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놀라울 정도로 빠른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 전문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 월간 온라인판에 실렸다.
1990년 이후 흡연자 비율은 24% 이상 줄었다. 하지만 여전히 전 세계 흡연 인구는 10억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흡연은 예방이 가능한 주요 사망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